미국 추가관세 폭탄 발표: 누가 웃고 누가 울까? 투자 관련주 손절주 정리
본문 바로가기

알뜰/재테크. 부동산.

미국 추가관세 폭탄 발표: 누가 웃고 누가 울까? 투자 관련주 손절주 정리

728x90

오늘, 현지 4월 2일(우리시각4월 3일 새벽), 최근 미국이 국가별로 차등 관세를 부과하는 새로운 무역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기존 10% 보편 관세에 추가 관세를 붙이는 방식인데, 평균적으로 25% 정도의 추가 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번 정책이 글로벌 무역 환경과 투자 시장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고, 유망한 투자 섹터와 주의해야 할 산업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미국의 차등 관세 정책 정리

미국은 보편 관세 10%를 기본으로 하되, 국가별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U.S. President Donald Trump delivers remarks on tariffs in the Rose Garden at the White House in Washington, D.C., U.S., April 2, 2025. REUTERS/Carlos Barria  Purchase Licensing Rights

 

주요 내용을 보면:

✅ 멕시코, 캐나다: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덕분에 무관세 유지

✅ 한국: 총 25% 관세 부과, 일본(24%) 및 유럽(39%)과 비슷한 수준

✅ 중국(34%), 베트남(46%), 대만(32%), 인도(26%) 등 경쟁국들의 관세율과 비교할 필요 있음

 

👉 자동차 산업: 이미 25% 관세가 적용된 상태이므로 추가 관세 영향은 제한적

 

 

 

 

추가관세 관련주: 유망한 투자 분야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해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은 업종과 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내 제조업

미국 내 생산 비율을 높이려는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미국 기업들의 리쇼어링(생산기지 본국 이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미국 내 공장 설비 투자와 자동화 관련 산업이 유망합니다.

 

👉 관련주/ETF:

✅ 산업 자동화: Rockwell Automation (ROK), Siemens (SIEGY)

✅ 미국 제조업 ETF: iShares U.S. Industrials ETF (IYJ)

 

 

반도체 및 첨단기술 산업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반도체와 첨단 기술 투자를 강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설립하는 기업들이 주목받을 것입니다.

 

👉관련 종목/ETF:

✅ 반도체: NVIDIA (NVDA), AMD (AMD), 마이크론(MU) →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으로 반사이익

✅ 반도체 ETF: VanEck Semiconductor ETF (SMH)

✅ 국내 관심주: 삼성전자(미국 텍사스 반도체 공장 확장), 현대차/기아차(미국 앨라배마 공장 가동), SK하이닉스(미국 반도체 공급망 수혜)

 

미국 내 소비재 및 농업

유럽과 아시아 제품에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내 생산되는 소비재와 농업 상품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큽니다.

 

👉 관련 종목/ETF:

✅ 소비재: Procter & Gamble (PG), Walmart (WMT)

✅ 농업 ETF: VanEck Agribusiness ETF (MOO)

 

 

멕시코, 캐나다 관련주

미국과 자유무역협정(USMCA)으로 무관세 혜택을 받는 기업

멕시코나 캐나다를 통해 미국으로 들어가는 제품에는 추가관세가 붙지 않습니다.

 

✅ 멕시코 진출 기업: 삼성전기, 만도, 현대모비스

✅ 캐나다 원자재 기업: BHP Group(BHP), Teck Resources(TECK)

 

 

⚠️ 조심해야 할 산업과 종목

이번 관세 정책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큰 업종과 종목도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일본, 유럽 자동차 업계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 자동차 업계는 이미 25% 관세가 적용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영향이 적을 수 있지만, 일본과 유럽 업체들과의 경쟁이 심화될 것입니다.

 

✅ 주의할 종목: 현대차 (005380.KQ), 도요타 (TM), 폭스바겐 (VWAGY)

 

 

베트남, 중국 기반 제조업

베트남, 중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미국 수출이 어려워지면서 이 지역에 공장을 둔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베트남은 추가관세 46%가 부과될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 주의할 종목: 나이키(NKE), 아디다스(ADDYY) (베트남 생산 비율 높음)

 

 

Q&A

Q1. 한국 수출기업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한국은 25% 관세가 부과되었지만, 일본(24%), 대만(32%), 베트남(46%)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나쁘지 않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국가별 협상 가능성이 열려 있어, 향후 추가 협상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치적 상황이나 외교부의 상황을 볼 때 추가 협상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Q2. 자동차 산업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요?

이미 25% 관세가 부과된 상태라 추가 관세 부담은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유럽, 일본 자동차 업체들과의 경쟁이 격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Q3. 투자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요?

미국 내 제조업자동화, 반도체 산업에 주목

미국 소비재 및 농업 관련 기업 관심

✅ 자동차 및 해외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에 대한 투자 주의

 

 

이번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는 글로벌 무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내 제조업이 부활하면서 일부 산업은 수혜를 입을 것이고, 해외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기업들은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라면 이번 정책이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유망한 섹터에 주목하고, 하락 가능성이 있는 업종은 조심해야겠습니다.

 

향후 각국과의 협상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메리츠증권 슈퍼365계좌

 

메리츠증권 슈퍼365계좌: 주식 환전 수수료 무료 이벤트 무조건 개설!

2026년까지 국내/미국 주식 수수료 0원! 달러 예수금에 연 3.75%까지 이자 지급. 신규/기존 고객 모두 대상! 미국주식 소수점 거래도 수수료 면제. 수수료 부담 없이 투자하고 싶다면 메리츠 슈퍼365

mm00624.tistory.com